Flux 시작하기.
이제 Flux의 기본 요소의 역할을 알았으니 실제로 코드를 작성해보자.
Flux의 구조를 직접 만들 수도 있지만 Github에 등록된 코드로 시작해보자.
https://github.com/kkak10/Flux_TODO/tree/flux_base
위 링크를 통해 Flux의 기본 세팅을 받을 수 있다.
TODO를 모두 작성한 APP은
https://github.com/kkak10/Flux_TODO/tree/master
에서 받을 수 있다.
pull 받아서 시작해보자.
기본적으로 Build 도구는 WebPack을 사용하며 React를 View FrameWork로 사용하고 있다.
Pull을 받았다면 npm install
을 해서 의존 라이브러리들을 받아주자.
그리고 기본 코드는 js폴더 밑에 있으며 WebPack을 통해 빌드된 코드들은 dist폴더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.
js폴더 아래를 보게되면
- actions
- dispatcher
- stores
- views
폴더가 있다.
entry Point(로직의 시작점)은 app.js이다.
webpack.config.js를 보면 webpack설정이 간단하게 되어 있다.
entry point를 app.js를 보고 빌드 output파일은 /dist/scripts/bundle.js
를 보고 JSX Build 파일은
모든 .js파일인데 node_modules폴더는 ignore시켰다.
package.json을 보면 의존 모듈과 CLI 커맨드가 적혀있는데
npm start
하면 서버를 띄울 수 있고 포트는 기본적으로 8000번이다.
그래서 http://localhost:8000으로 접속하면 dist/index.html이 보일것이다.
이렇게 기본적인 flux 프로잭트를 시작할 수 있다.
우리는 TODO 앱을 만드는것을 시작할 것이다.